“엠비케이(MBK)파트너스가 한국의 기업지배구조 개선과 자본시장의 선진화를 위해 ‘메기’ 역할을 하겠습니다.” 아시아 최대 사모펀드(PE)인 MBK파트너스의 김광일(60) 부회장은 지난 2월25일 서울 광화문 사무실에서 한겨레와 가진 인터뷰에서 “한국 투자자가 국장(한국증시)을 떠나는 것은 미국·일본과 달리 기업지배구조 개선이 안되는 것에 대한 페널티(처벌) 성격”이라면서 “일본에서도 사모펀드가 변화의 촉매제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거대 담론 속 일상의 인사이트를 찾아 재구성하는 스피커스!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주관하는 포럼과 세미나는 물론 다양한 주제와 담론들을 친절하게 설명합니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의 도시 인구 비율은 92.1%에 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은 오히려 높아지고 있다고 해요. 도시농업은 1992년 서울 농촌지도소에서 주말농장 운영을 시작으로, 2000년대 들어 도시농부학교와 아파트 옥상이나 베란다의 상자텃밭·베란다텃밭으로 확장되었습니다. 농부들은 땅과 연결된 지역 공동체를 유지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어요. 도시농부들은 이러한 농업의 가치를 도시에서 어떻게 실현하고 있을까요?
영국의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의 ‘2023년 세계 민주주의 지수’에 따르면 완전한 민주주의로 분류된 나라가 14.4%인 데 비해 권위주의 체제는 35.3%에 이른다. 2006년 지수 작성 이래 최악이다. 미국, 유럽 그리고 한국에서도 극우세력이 부상하며 민주주의가 흔들리고 있다. 세계적 석학들은 민주주의 위기의 배후에 소셜미디어가 있다고 공통으로 지적한다.